728x90
반응형
여러분들은 GitLab과 GitHub에 들어가서 보면 마크다운 형식으로 자신의 오픈소스를 소개해 놓은 것을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.
저는 처음 github에서 여러가지 오픈소스를 보면서 Readme.md 파일이 무엇인지 궁금하였고 어떻게 이 파일을 하나만 자신의 오픈소스를 설명할 수 있는지 너무 신기하였습니다.
마크다운(Markdown)이란?
마크다운이란 쉽게 말하면 텍스트를 편집할 수 있는 문법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. 태그를 이용하여 글자에 속성을 주거나, 이미지를 삽입하고 조작하는 일이 가능합니다. 마크다운은 HTML을 몰라도 마크다운 형식으로 글을 작성하면 HTML형식으로 변환시킬 수 있습니다.
마크다운은 쉽게 글을 쓸 수 있도록 해 주고, 읽는 사람에게도 쉽게 읽힐 수 있도록 해 주는 간소한 문법입니다.
마크다운 장점
- 문법이 간결하고 쉽습니다.
- 마크다운은 대부분의 환경에서 편집과 작성이 가능합니다. (메모장에서도 가능)
- 텍스트 형태로 저장되기 때문에 용량이 작아 보관이 용이합니다.
마크다운 단점
- 모든 HTML의 문법을 대신하지 못합니다.
- 확장문법이 많습니다.(마크다운은 단순하기 때문에 HTML 문법을 써야할 때가 있습니다)
VSCode를 이용한 문서 편집
이제 VSCode를 이용해 마크다운 문서를 편집하는 것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VSCode를 이용하면 마크다운 문서를 편집하면서 동시에 인코딩된 문서형태로도 볼 수 있습니다.
다음은 마크다운파일을 VScode로 열고 .md 파일을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화면입니다.

이후 Open Preview 버튼을 누르면, 다음과 같이 인코딩된 형태로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. 바로바로 내가 작성한 문서를 인코딩된 형태로 볼 수 있어서 문서 편집하기에 용이합니다.

728x90
반응형